267회 주간전망대 - 북미정상회담 평가와 금융시장 이슈 분석

게시자 : 연합뉴스경제TV

게시일 : 2018-06-18 10:08:27


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 통일전략센터장
임성준 前 청와대 안보수석
김형렬 센터장 / 교보증권
박상현 상무 / 리딩투자증권

이번 주 주간전망대에서는 북미회담의 성과와 과제 및 향후 금융시장 이슈에 대해 이야기해 보았다.

임성준 고문은 북미 정상회담합의문이 기대에 못 미친 부분이 있지만 두 정상의 만남은 그 자체로서도 중요하고, 비핵화의 시작을 알린 첫 걸음이기 때문에 큰 의미를 가진다고 말했다. 비핵화에는 절차와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한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에 대한 경제 제재는 비핵화를 유도하는 담보로 활용하면서 시간을 충분히 갖고 신중하게 풀 것이라고 전망했다.

문성묵 센터장은 완전한 비핵화는 북한 뿐만 아니라 남한에 주둔하고 있는 미국의 전략자산을 포함한다고 분석했다. 다만, 주한미군철수는 동북아시아 힘의 균형, 미국의 태평양 전략 및 중국 견제 등 안보전략의 문제이기 때문에 의회의 동의 없이 미 행정부가 임의로 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형렬 센터장은 금융시장이 북미회담 보다 FOMC와 G7 회의에 주목했다면서 시장에서 기대하는 코리아디스카운트 해소나 남북경협 본격 추진은 아직 조심스럽다고 지적했다. 우리나라는 경제성장 속도에 비해 금융과 자산 가치 변화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외국자본들의 추가적인 한국투자는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시장은 가변적 변수에 따른 변동성 국면이 지속되면서 투자자들을 혼란스럽게 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박상현 상무는 일부 신용평가사들이 북미정상회담에 따라 한국국가신용등급을 상향 시킬 가능성은 있지만 북미 문제가 흔들릴 경우 그 파장이 더 심할 것이기 때문에 좋게만 볼 수는 없다고 말했다. FOMC가 금리를 인상함에 따라 한국은행도 10월에는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며 하반기 금융시장에서는 무역갈등 문제와 IT슈퍼사이클 지속 여부가 가장 중요한 이슈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여러 정보제공처의 도움으로 구성 운영되고 있으며, 단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제공하는 정보에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고, 지연될 수 있으니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제공된 정보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으며, 본 사이트는 이용자의 투자결과에 따른 법적책임을 지지 않습니다